[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14일 (월) 15:23 주요뉴스 '의료분쟁 조정 환자대변인' 모집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의료기기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파스 형태 칩 통해 심장 건강상태 측정
KAIST 유회준 교수팀, '스마트 파스' 세계 첫 개발
만성 심부전 등 심혈관 질환자가 '파스' 형태의 헬스케어 칩을 통해 스스로 건강상태를 실시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총장 서남표) 전기 및 전자공학과 유회준 연구팀은 최근 세계 최초로 가슴에 붙이는 심장건강상태 모니터링 장치인 '스마트 파스'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장치에는 붙이는 파스형태로 심혈관 저항 및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고성능 반도체 집적회로(헬스케어 칩)가 장착돼 있다. 파스 표면에 25개의 전극이 있어서 심장의 수축과 이완 능력, 심전도 신호를 동시에 검출해 무선으로 외부에 알려 준다.

휴대전화 등의 휴대용 단말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켜고 끌 수 있으며 데이터통신도 가능한 이 장치의 핵심은 헬스케어 칩(건강관리 칩)과 이 칩을 내부에 장착하고 있으면서 표면에 전극을 형성시켜 놓은 4층 헝겊형 기판기술이다.

연구팀은 각각의 헝겊에 전극과 무선 안테나, 회로기판(이 헝겊의 중앙부에 헬스케어 칩을 장착)을 부착한 뒤 플렉시블 배터리(유연하게 잘 구부러지는 배터리)와 함께 4층으로 쌓아 이 장치를 제작했다.

전극이 형성된 헝겊 면에는 접착제를 발라 일반 파스처럼 가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완성품은 가로세로 각각 15㎝이며 두께는 가장 두꺼운 중앙 부분이 1㎜ 정도다.

유회준 교수는 "헝겊 위에 직접 전극 배열을 인쇄하고 건강관리 칩과 플렉시블 배터리를 부착함으로써 편의성과 착용감을 확보했다"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자가진단 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심부전 환자 등 심혈관 질병이 있는 사람들에게 안성맞춤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반도체회로 학술회의(ISSCC)에서 발표됐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10-02-11, 11:51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