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09일 (수) 07:04 주요뉴스 장기요양시설 입소자 다제약물 관리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스트레스, 암 위험 증가와 관련
“만성 스트레스 보유자 암 사망 위험 높아”

만성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훨씬 더 높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연방 건강 및 영양 조사에서 30년 이상의 미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인종, 성별, 과거 병력 등 영향력 있는 여러 요인을 조정한 후 평생 스트레스가 암 사망 위험을 14%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석 저자인 오거스타대학 조지아의과대학과 Justin Moore 박사(조지아 암센터 암 예방, 통제 및 인구 건강 프로그램 책임자)는 “이는 ‘allostatic load’로 알려진 개념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allostatic load’는 Moore 박사가 "인생 과정의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묘사한 누적 스트레스 또는 신체의 마모를 측정한 것이다.

이러한 마모 지표에는 비만의 주요 지표인 높은 체질량 지수(BMI), 고혈압, 고혈당 또는 콜레스테롤 수치 및 알부민 이라고 하는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의 높은 혈중 농도 등이 포함된다.

Moore 박사는 “정상적인 근육 마모로 인한 폐기물인 높은 수준의 크레아티닌은 전신 염증의 징후인 높은 수준의 C 반응성 단백질 과 마찬가지로 allostatic load stress의 지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지표(전체적으로 allostatic load)가 암 사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팀은 198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수집된 전국적인 건강 조사 데이터를 조사했다.

전체적으로 설문 조사에는 41,000명 이상의 성인이 포함되었고, 10명 중 7명 이상이 백인, 약 13%가 흑인, 약 9%가 히스패닉이었다.

모든 참가자의 Allostatic 부하 수준은 0에서 9까지의 척도로 집계되었으며 3점 이상의 점수는 "높은 allostatic 부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전체적으로 참가자의 절반 미만(약 20,000명)이 높은 알로스테틱 부하를 가진 것으로 고정되었다. 이 응답자는 낮은 allostatic 부하 그룹과 비교하여 더 나이가 많고 교육 수준이 낮고 부유하지 않은 흑인일 가능성이 더 컸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높은 동종성 부하와 암 사망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측정했다.

예를 들어, 고려 사항에서 나이를 제거한 후 높은 allostatic load는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28% 더 높은 것으로 연결되었다.

연구팀은 “흑인과 히스패닉 응답자만 볼 때는 연결 고리가 약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비백인 응답자가 분석의 해당 부분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그러나 성별, 인종, 연령 및 교육 배경도 방정식에서 제거하면 암 사망 위험이 21%로 더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환자의 흡연 이력, 심장 마비 이전 또는 암 또는 울혈성 심부전의 이전 병력을 설명한 후 조사에서는 위험이 14% 증가했다.

나이, 인종, 성별, 소득 및 교육 수준과 같은 잠재적 교란 요인을 조정하지 않은 경우, 높은 이소성 부하를 가진 사람들은 낮은 이성 부하를 가진 사람들보다 암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2.4배 더 높았다.

Moore 박사는 결론적으로 "누적 스트레스는 암 사망 위험과 관련이 있다. 만성 스트레스와 염증을 줄이기 위해 공중 보건 및 임상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정신 건강 서비스의 낙인을 없애려는 노력과 암 치료 연속체를 따라 1차 진료 시설에 문화적으로 민감하고 유능하며 저렴한 자원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포함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Population Health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이상현기자 gurumx@naver.com>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22-10-24, 7:41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