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07일 (월) 15:45 주요뉴스 제1회 질병 예방·관리 주간 출범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보건정책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글로벌 식품첨가물 기준 선도
제55차 CODEX 식품첨가물분과위원회 성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서울에서 개최한 ‘제55차 CODEX 식품첨가물분과위원회(이하 CCFA)’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우리나라의 식품안전 분야 전문성을 확인하고 글로벌 식품규제 선도국으로서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55개 CODEX 회원국과 28개 국제기구 등 전 세계 식품규제 당국자와 전문가 250여 명이 참석하여 식품첨가물의 국제기준 마련을 위한 의제와 국제 식품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의제는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식품첨가물의 안전성 평가 우선순위 목록 제안 ▲제빵용 효모의 기준 ▲식품첨가물의 국제번호시스템(INS) 개정 등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가 제안한 ‘고추장 제조에 사용하는 식품첨가물(7품목)의 사용기준 신설안’이 원안대로 채택되었으며 2025년 11월 개최되는 CODEX 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산 고추장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회의에 상정된 ‘김치의 식용색소류 사용기준 신설안’에 대해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김치 고유의 매운맛과 붉은색을 내기 위해서는 우리 기준과 같이 고춧가루만 사용해야 함을 역설하여 김치에는 식용색소류 사용을 허용하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국제적으로 인공색소류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이 확산됨에 따라 아시아권에서 주로 사용하는 천연 치자황색소 등의 국제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 일본과 상호협력하기로 하는 한편, ‘제빵용 효모 기준 신설안’에 국내 업계 의견을 반영하여 반건조 효모 기준 등을 추가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

또한 앞으로 세포배양식품 원료배양용 배지 성분의 안전성 평가지침 개발을 위해 전자작업반을 설치하여 본격 논의하는 데 합의하고 우리나라는 공동의장국으로서 글로벌 기준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생명공학, 정밀발효 등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된 식품첨가물의 규제 방향과 미래 이슈도 함께 논의하는 등 규제당국 간 공동대응과 규제조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이슈에 대한 국제 협력을 지속하고 우리 기준이 글로벌 기준이 되도록 규제조화를 주도해 국내 식품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25-04-03, 9:6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