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13일 (일) 05:51 주요뉴스 '비급여 정보 포털' 개설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의료기기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구강암 조기진단용 광학시스템 국내최초 개발
한국전기硏, 절개없이 암 여부 즉시 진단…연세대서 성능 확인
구강내 세포조직을 절개하지 않고 구강암을 쉽게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고감도의 광학진단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한국전기연구원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유태환)은 최근 개발한 '구강암 조기진단용 의료시스템'을 연세대 구강종양연구소(소장: 김진 교수)와 함께 동물실험을 한 결과 전암단계인 상피이형성(Epithelial dysplasia)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구강암 조기진단 시스템은 단백질이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해 환자의 입 안에 형광측정센서를 삽입한 뒤 점막에 접촉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전암단계의 병소를 조기 진단할 수 있게 돼 진단과정이 빠른데다 간편하다.

또 의심 부위 조직만 떼어내는 기존의 구강암 조기진단 방법과 달리 모든 의심부위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암 진단의 정확성을 더 높였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구강암 조기진단 방법은 구강내의 세포 조직을 떼어내 육안으로 조직을 관찰해 이상증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 진단법은 고통스러운 생검 과정 등이 불편해 환자에게 부담을 주고 암 여부 판단에 최소 3일에서 일주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조기 암 진단이 문제가 돼왔다.

한국전기연구원 최 박사팀은 연세대 구강종양연구소와 5개월여 동안 함께 벌인 동물실험결과, 측정된 결과와 병리학적 조직검사 소견이 매우 일치,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인했다.

인도, 스리랑카 등 동남아 국가의 경우 독특한 식문화의 영향으로 전체암 중 구강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30%에 달함에 따라 향후 동남아 의료기기 시장 개척 가능성도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구강암 뿐 아니라 각종 내시경 등에 적용하면 자궁경부암 등 다른 부위에 쉽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차세대 성장 동력을 육성하기 위해 ▲전자 응용기술 ▲센서 기술 ▲광학 기술 ▲레이저 및 X-ray 기술을 바탕으로 의료 임상 기술을 융합, 조기 암 진단과 암 치료를 위한 차세대 의료 기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X-ray 및 PET-CT용 첨단 센서 ▲CNT(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X-ray 광원 ▲레이저 형광을 이용한 조기 암 진단 기기 ▲U-health △THz(테라헤르츠파) 조기 암 진단 기기 ▲E-beam 암 치료 기기 ▲조기 암 진단용 바이오센서 등의 분야에서 세계 일류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최영욱 박사(전자의료기기연구센터장)는 "구강암 조기 진단용 의료 시스템은 의료+광+영상 기술을 접목시킨 비절개 새로운 차세대 영상 기술 기반 확보로 향후 대장, 위 등 인체내 장기와 혈액에 적용이 가능한 미래지향적 연구"라고 자평했다.

그는 "인간 임상실험을 통해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의 기술 완성도를 한층 높이는 한편 향후 의료기기 관련 업체에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09-01-05, 9:37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