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08일 (화) 01:59 주요뉴스 제1회 질병 예방·관리 주간 출범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데스크 칼럼
우리나라 고혈압의 역학 및 미국의 새로운 진료지침
  2004-06-25 오후 2:03:00
우리나라 고혈압의 역학 및 미국의 새로운 진료지침

1.우리나라 고혈압의 역학

2000년대에 들어와서 고혈압, 뇌 혈관질환과 관 동맥 질환은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 되었고 2001년 통계에 의하면 약 23.8%를 차지하고 있다. 심혈관계질환중 뇌 혈관계질환이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며 고혈압에 의한 사망률은 약 2%로 20년전에 비해 감소하고 있으나 이는 고혈압의 발생율이 감소하기 때문이 아니라 조절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의 유병율을 보면 30세 이상의 성인에서 남자는 31%, 여자는 29%로 4명중 1명 이상이 고혈압 환자이다. 이중 가장 많은 것은 제 1단계 고혈압이며 높은 정상, 또는 고혈압전단계의 환자도 상당하여 이들의 조절이 고혈압으로의 이행과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고혈압의 위험인자는 소금의 과다섭취 외에 나이, 과음, 가족력, BMI 그리고 도시생활을 들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허혈성 심질환과 뇌혈관질환이 주로 발생하며 고혈압환자에서의 관동맥 발생위험도는 제 1단계에서는 2, 2단계에서는 3, 그리고 3단계고혈압에서는 4.4배이다. 뇌졸중환자에 관한 9개의 메타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 고혈압환자의 뇌졸중중 뇌출혈의 위험도는 6.56, 경색은 3.28, 그리고 전체로는 4.10이다.
최근 고혈압의 인지도와 치료율은 약간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다. 특히 고혈압을 알고 있는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140/90이하로 조절되고 있는 환자의 수는 아직도 20%미만으로 합병증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 미국의 새로운 진료지침

미국 국립보건원 고혈압 합동위원회(JNC)에서는 1997년 제 6차 보고서를 내 이래 6년만에 2003년 5월 7차 보고서(JNC 7)를 발표하였다.
JNC 7의 요점은 정상혈압의 기준을 강화하고 고혈압이 되기 전의 관리를 위해 고혈압 전단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또 고혈압의 진단기준을 단순화하여 이해가 쉽게 하였다. 즉 적정혈압, 높은 정상혈압을 없애고 정상혈압, 고혈압 전단계, 그리고 고혈압으로 단순화하였다. 고혈압은 1,2단계로 단순화하고 3단계는 배제하였다.
약물치료시에는 이뇨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2단계부터는 병용요법을 시행토록 하였다. 고혈압 전단계에서는 생활요법을 강조하였다. 그 외 중요한 요약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50세 이상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확장기 혈압보다 더 중요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2. 심혈관 질환의 발생위험은 혈압이 115/75에서 20/10증가할 때마다 2배씩 증가한다. 55세에 정상혈압을 가진 사람도 일생동안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90%이다.
3. 합병증이 없는 고혈압환자의 초기치료에는 이뇨제를 사용하고 다른 강압제와 병용 시에는 이뇨제를 포함해야한다. 동반질환이 있을 때는 ACE억제제, AII수용제 차단제, Ca차단제, 또는 베타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4. 대부분의 고혈압환자는 정상혈압 (140/90 이하, 또는 당뇨나 만성 신장 질환 시는 130/80 이하)을 유지하기 위해선 2가지 이상의 강압제가 필요하다.
5. 혈압이 목표혈압보다 20/10이상 높으면 처음부터 2가지 강압제를 사용하고 그중 하나는 이뇨제를 사용한다.
6.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환자가 치료의 필요성을 알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환자와 의사간의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방헌(한양의대 심장내과 교수)
노인당뇨병 - 왜 많은가?
병적인 접근에 의한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