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선 진 소장은…
“정답이 없거나, 정답을 모르거나, 정답이 다른 것이 인생이라면 우리는 이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경제학자이자 칼럼니스트로 많은 족적을 남겼던 故 정 운영씨가 어느 강연의 말미에 던진 질문이다. 물론 이 질문에도 정답은 없다. 각 개인이 그 답을 찾거나 만들어 가는 과정 자체가 삶이다.
권 소장은 서울시 의무직 공무원으로는 최고참에 속한다. 1978년 경북의대를 졸업하고 별 저항감 없이 보건소에 들어오게 되었다고 했지만 “당시 보건소에는 나름대로 의사가 할 일이 분명히 산재해 있었는데 의사들은 너무 쉽게 보건사업을 포기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했다. “국가 시스템으로써의 보건소는 의사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는 점을 주지시켰다.
권 소장 자신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보건소에 봉직하게 되었다고 했지만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나름의 소신은 분명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정 운영씨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권 소장은 ‘기존 매뉴얼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 나를 넘어 이웃도 생각하는 정의‘같은 가치를 일깨워 준다. 그늘에 가려진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배려를 통해 온기가 흐르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일 것이다.
“보건의료는 여러 다른 직종들이 함께 최선을 다해야만 환자에게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업무다”, “질병이 물질만의 문제가 아니라 마음에서 시작되고 마음으로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보건의료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서로를 위한 배려가 몸에 배어있어야 한다”, “서울이라는 인력이 풍부한 지역에서의 근무여서 지방 오지의 보건소보다는 여건이 좋지 않았나 하는 생각으로 좀 더 열심히 하려고 한다”, “팀제 운영의 효율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구성원들이 각자의 책임 하에 열심히 하고, 부족한 부분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등. 권 소장이 나지막한 톤으로 들려주는 생활언어들은 생경하지 않아 훨씬 정겹다. 30년을 보건소에서 근무하면서 “보건의료가 의사만의 일은 아니라 다른 직종과 협력하여 수행해야만 고품질의 서비스가 창출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면서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즐겁게 서로를 배려하면서 일하는 것”이 다른 무엇에 우선해서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주민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보건소를 찾을 수 있도록 “집에서 살림하듯이” 보건소 업무를 수행하는 것, 그것이 곧 “나에게 주어진 여건 안에서 최선을 다한다”는 신념이다. 이렇듯 한결같은 정성의 일상성은 ‘盡人事待天命‘이다.
권 소장은 “서울시 보건소에서 1980년부터 지금까지 몸담아오면서 지역주민들의 건강 컨설턴트로써의 역할에 노력해 왔다”면서 “동작구보건소가 이러한 고품질의 보건의료 상품을 제공하는 주민건강의 전당으로 자리 매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우리는 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권 소장이 찾은 답은‘휴머니즘‘이다.

-정부 보건정책에 대한 견해는?
“효율적인 전염병관리와 인구증가억제책에
중점을 두고 있던 보건사업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직 지역의 보건소의 경우 주민들의 건강욕구를 따라잡는 시스템의 변화를 감당하기에는 여러 가지 조건이 충분하지 않아 새로운 사업이 정착될 때까지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보건소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당면한 과제로 진료 부서와 행정 부서를 분리 운영함으로써 훨씬 원활한 시스템으로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성질환예방사업에 대한 소신은? “만성질환예방사업은 보건의료 쪽의 접근에서 오히려 지역사회의 환경변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만성질환 즉 고혈압, 당뇨병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그 질병이 잘 관리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잊어버리고, 환자 자신이 병에 의한 고통이 올 때까지는 환자라는 인식이 없으므로 생활에서의 나쁜 습관을 교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치료자인 의사의 말조차도 무시하는 사례를 흔히 보는데 만성질환에 대한 보건교육의 장도 좀더 환자의 흥미를 끄는 쪽으로 진행되어야 하겠지만 만성질환의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전체의 인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홍보매체의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황보 승남국장/hbs5484@hanmail.net
최 훈희기자/uonlyfor@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