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 한방요법 |
|
|
1. 전신의 체열 분포를 알아보는 적외선 체열 검사
2. 각 장기의 기능과 스트레스 정도를 보는 Vega 검사
3. 순환 장애와 어혈정도를 알아보는 생혈액 검사
4. 골반 및 척추의 변위를 보는 등고선
5. 비만 정도를 알아보는 체성분 검사
6. 뼈와 관절 상태를 보는 골다공증 검사
한방에서는 세월이 오래된 산후풍이라도 인체 경락의 어느 부위에 병이 정체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 원인에 따라 상후풍을 치료하는 근본적인 치료방법을 택하고 있어 좋은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약물요법
산후풍이 일어난 증상에 따라 알맞은처방을 내립니다.
1. 배꼽 주위가 아프고 허리가 아플 때 - 가감오적산 (加減五積散)
2. 기가 허해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고 쉽게 지칠 때 -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3.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저릴 때 - 녹용가미생화탕(鹿茸加味生化湯)
- 침구요법
기혈 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침 요법을 실시합니다. 특히, 약해진 뼈와 골수를 강화시키기 위해 약침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약침요법 - 녹용, 홍화, 주목 등 한약재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 혈 자리에 주사하여 약물요법과 침 요법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 약해진 뼈와 관절을 강하게 하고, 산후풍으로 인한 관절염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합니다.
- 추나요법
추나요법(推拿療法)이란 글자 그대로(밀 '추', 당길 '나')- 인체의 비뚤어진 뼈와 관절 및 근육을 밀고 당겨서 정상 위치로 환원케 하는 치료법으로 교정 요법인 추법과 나법, 그리고 약물요법을 포함한 일련의 치료법을 말합니다.
산후 골반의 위치를 바로 잡아 골반 이상으로 인한 요통과 기타 척추 질환을 예방합니다.
--1. 산후 100일까지는 과로를 피한다.
--2. 찬바람과 냉수욕을 피한다.
--3. 무거운 것을 들거나 걸레질 손빨래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일은 삼간다.
--4. 조리기간 중에는 목욕을 삼가고 가볍게 샤워정도 한다.
--5. 노산, 난산, 허약자, 제왕절개, 분만 중 하혈이 심했거나, 출산 또는 유산횟수가 많은 사람은 건강하고 젊은 여성보다 산후풍이 생기기 쉬우므로 산후조리에 더욱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흔히 산후에 보약을 먹으면 안 된다고 알고 있는데 사실은 이때 약을 먹어야 출산 후 통증을 줄이고 혈액순환을 정상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단 너무 빨리 먹으면 기운을 상승시켜 어혈과 오로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산후 부종이 빠진 2-3주후 정도부터 먹을 수 있습니다.
--산후 3주 내에는 오로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는 궁귀탕(芎歸湯)을 복용하는 것이 좋고, 오로가 다 빠져 나올 무렵에는 보허탕(補虛湯)이나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에 녹용을 넣어 복용하여 부족한 기혈을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자생한방병원(http://www.jaseng.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