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
|
|
제약협회 회장을 포함한 이사장 등의 선임을 놓고 회원사 대표들 간에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제약협회 회장 선임 문제는 김 정수현회장이 사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차기회장 선임에 따른 전직회장단으로 구성된 자문단의 회의 결과에 대해 13개 중소제약대표들이 반발을 함으로써 표면화 되었다.
그동안 제약협회의 실질적인 구심체 역할을 해온 자문위원 모임은 김정수회장의 사임 의사표명에 따라 최근 회의를 갖고 전경련의 운영 방식과 유사한 제약사 오너가 회장을 맡고 비 오너인 외부 인사를 이사장으로 영입하여 협회를 이끌어 나가는 조직체계로 전환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자문단 회의의 결정에 대해 13개 중소제약사 대표들은 오너회장체제는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는 대형제약사 위주의 정책과 사업만을 추구할 뿐 중소제약사의 협회참여와 발전적 풍토 조성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반발하면서 논란의 불씨가 된 것이다.
이들 중소제약사 대표들은 김 정수 현회장과 어 준선이사장을 그대로 유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제약사 대표들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제약계의 중추역할을 해온 자문단의 의견에 대해 전면적으로 반기를 듬으로서 화합의 모습 보다는 갈등을 표면화 시켰다는 지적을 피할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지난 99년 의약분업을 앞두고 제약협회에 포함되어 있던 28개 다국적제약사들이 사단법인체인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KRPIA)를 발족시켜 협회와는 결별하는 사태가 야기되기도 했다.
회원사의 분열은 제약협회의 회세를 약화시키는 요인을 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13개 중소제약사대표들의 반발사태는 주목되는 부분이며 대부분의 제약업계 관계자들은 대화를 통해 서로간의 이견이 슬기롭게 타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약개발 여건이 미약한 현실과 원료 수입 등 외국의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제약계의 상황 속에서 회원사 대표들 간의 불협화음은 결국 부메랑이 되어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사실을 인식해야한다는 지적이다.
오는 20일 열리는 제약협회 이사회에서는 회장 선임 문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견해가 제시되어 협회가 의약품제조업체의 미래지향적인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제약업계 공동의 여망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