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장에 약무 직이 복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어떤 인물이 낙점될 것인가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달 중순경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식약청 고위직 인사와 관련 의약품안전국장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한 것은 일련의 정부 정책에 대한 제약업계의 관심은 물론 최근 들어 약무 직이 아닌 일반직이 의약품안전국의 수장을 계속해서 맡음으로 인해 나타난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의약품안전국장은 의약품안전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인 동시에 제약 산업의 발전과 관련한 직간접적인 정책 수행과정에서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부서로서 업무 측면뿐만이 아니라 업계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도 가져야 하는 직책이다.
따라서 노 연홍청장이 식약청의 최우선 캐치프레이즈를 식품의약품안전관리라는 점을 일차적으로 강조한 만큼 의약품안전국장은 전문성을 갖춘 약무 직이 임명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자연스럽게 예상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 임명된 이 희성차장 역시 전문성에 역점을 둔 인사를 주장하고 있는 만큼 의약품안전국장=약무 직이라는 노-이 라인의 코드가 일치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약업계에서는 최근 몇 년간 식약청의 의약품 안전정책과 관련해 전문성의 결여와 더불어 제약업계의 현실적 고충을 대변할 수 있는 의견수렴의 창구가 막혀 상당한 애로가 수반됐다는 것이 공통적인 견해다.
실제 즉흥적이고 실험적인 인사, 비전문가를 기용한 인사로 인해 제약업계의 현실을 무시한 탁상공론의 의약품 안전정책이 제시됐던 것도 사실이다.
특히 제약업계에서는 식약청이 추진하고 있는 의약품 소포장 정책의 경우 약사회의 요구만을 전적으로 반영한 사례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업계는 조만간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품안전국장에 전문직인 약무 직이 임명되고 제약업계의 입장을 이해해주는 합리적인 인사가 기용되어야 한다는 기대감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현재 의약품안전국장 후보로는 이 정석 바이오생약국장이 제기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청 내의 고참 군으로 평가되는 박 전희 부산지방식약청장도 후보로 부상하고 있어 누가 기용될지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동안 왜 전문직이 배제되어 왔는가에 대한 자지 반성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도중하차한 전직 약무 직 의약품안전국장들의 부적절한 처신과 행보를 거울삼아 후배 약무 직들의 귀감이 되고 업계의 존경을 받을 수 있는 의약품 안전국의 총수가 등장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