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관절염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병하는 것은 확실 합니다. 유전적인 요인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한 조직적합성 항원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조직적합성항원은 우리 몸의 T 림프구가 특정한 항원을 인식할 때에 필요한 물질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전병이라 하면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병이 전달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류마티스관절염의 경우에는 그렇지는 않습니다. 즉 부모님이 류마티스관절염에 잘 걸릴 수 있는 소인이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전달된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유전적 소인이외에 환경적인 요인도 류마티스관절염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이 특정 병균에 감염될 때와 같은 특수한 환경에 접하게 될 경우에 발병하기 때문입니다. 류마티스관절염의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특정한 세균이 백혈구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결과로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세균
을 잡아 먹도록 하는 본래의 면역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고, 우리 몸을 공격하게 하는 자가면역 현상을 일으킨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공격의 대상이 관절이 되면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관절로 모여든 백혈구들이 관절을 파괴하고 피로한 증세를
느끼게 하는 물질들을 만들어 냅니다. 물론 관절에 액체가 고이게 되고 관절이 붓기도 합니다. 자가면역에 의한 염증은 고름이 잡히는 화농성 염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는 관절에 고름은 안 잡히고 계속 염증반응만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