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목되는 약국 카운터 척결운동 |
|
|
|
대한약사회가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를 척결하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실천에 착수하여 주목되고 있다.
이번 대약의 무자격자 의약품 퇴치 움직임은 그동안 진행했던 카운터 척결 정화운동과는 다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어 그 결과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약은 최근 지난해 의약품 약국외 판매 논란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활동이 중단됐던 '약국자율정화TF'팀을 새롭게 구성하고 카운터 근절을 올해 중점사업으로 선정했다.
특히 TF팀은 오는 9일부터 약사회 임원들이 운영하는 약국을 중점적으로 외부 인력을 동원해 현지조사를 펼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카운터 척결 의지를 보이고 있다.
임원들에 대한 자체 조사를 나서는 것도 이례적이지만 외부 인력을 고용해 약국을 조사하는 것도 전례가 없는 사례다.
약국의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 척결은 그동안 문제가 야기 될 때마다 자정운동을 진행했지만 공염불에 그쳤다는 점에서 이번 대약의 획기적인 조치는 회원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욱이 약국의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는 지난해 대약의 수장인 김구회장 약국에서도 문제가 제기되는 등 임원진들의 약국이 윤리적인 측면에서 비판 대상이 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 같은 임원진 약국의 부도덕한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 행위 적발은 약사사회 내부 감시 기능의 강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은 지난해 말부터 대약회장을 비롯한 임원진 약국의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 동영상을 공개하며 카운터 척결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 왔다.
최근에는 부산, 서울 종로지역의 약국 카운터에 대한 동영상을 공개한 것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수백여 곳의 동영상을 공개해 개국회원들의 호응 속에 약사사회의 내부 감시기관으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대약의 이번 약국 무자격자 의약품 판매 근절 대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회원 스스로의 자정 노력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하다. 이는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최우선의 과제이기도 하다. 그래야만 약국과 약사가 바르게 정립하는 시금석이 된다.
【정 해일주간】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