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협회소식 학술/학회 보건정책 제약/유통 단체/병원 의료기기 기능성식품 해외소식
 
회원가입 ID/PW찾기
기사검색
2025-04-04,00:53(pm)





성인병 원인과 예방
성인병 운동요법
성인병과 식생활
성인병 한방요법
데스크 칼럼
당뇨병 클리닉
고혈압 클리닉 등
성인병 묻고답하기
박달회 수필 릴레이
유형준교수 포럼
김철수원장 포럼
안웅식교수 포럼

 

 [국내] 김치 많이 먹으면 심장병 막는다
성인병뉴스
서울아산병원 김영식교수 연구 결과

담배, 콜레스테롤과 함께 심장 혈관병의 3대 발병 원인으로 꼽히는 `호모시스테인'의 혈중 농도가 김치를 많이 먹으면 크게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의 김영식(金英植)교수는 이 병원 건강진단센터를 방문한 670명을 대상으로 혈액검사를 실시, 김치 섭취량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연구 결과 매일 두번 정도 김치를 먹는 319명의 평균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리터당 10.5마이크로몰(μmol)로, 주 2회 정도 김치를 먹는 25명의 평균 호모시스테인 농도 10.9마이크로몰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매일 3번 이상 김치를 많이 먹는 316명의 평균 농도는 9.8마이크로몰로 나타났으며, 이 수치는 호모시스테인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수준이라고 김교수는 설명했다.

김교수는 이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 등 서구에서 심장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녹황색 채소 섭취를 권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가 심장병 예방 효과가 높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교수는 이는 또 최근 심장병 발생률이 증가하는 현상이 김치 등 전통 식품의 섭취는 감소하는 반면 패스트푸드 섭취는 늘어나는 등 식습관의 서구화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일부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교수의 이번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 가운데 11.6%가 호모시스테인 혈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10명중 1명꼴로 호모시스테인으로 인해 협심증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교수의 이번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오는 20일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열리는 대한 역학(疫學)회 학술대회에서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2003.06.19]
△ 다음글 : [해외] 콩식품 섭취하면 유방암 예방효과
▽ 이전글 : [국내] 젖은 행주는 ‘세균 덩어리’


 



서울시 동작구 동작동 102 - 31 번지 환3빌딩 402호 / 전화: 02-594-5906~8 / FAX: 02-594-5901
Copyrights (c) 2004 cdpnew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