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4월 12일 (토) 09:56 주요뉴스 '비급여 정보 포털' 개설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운동유발 호르몬 ‘아이리신’ 효과
美“연구팀, 알츠하이머병 예방에 도움”

운동을 하면 생성되는 호르몬 부산물이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인 엉킴과 플라크를 줄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이리신이라는 이 호르몬은 쥐와 인간의 뇌 모두에 존재하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그 수치가 더 낮다는 것이다.

연구 저자인 보스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유전학 및 노화 연구실의 최세훈 박사는 “아이리신 치료가 아밀로이드 베타 병리 현상을 눈에 띄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종전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최초의 3D 인간 세포 배양 모델을 개발한바 있다. 연구팀은 이를 뇌의 아밀로이드 베타에 대한 아이리신의 영향에 대한 새로운 연구에 사용했다.

신체 운동은 이미 알츠하이머병 쥐 모델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침착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방법은 확실하지 않았다.

운동을 통해 근육 유래 호르몬인 아이리신의 순환 수준이 증가하면 지방 조직의 포도당과 지질 대사가 조절된다. 또한 백색 지방 조직의 갈변을 촉진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연구팀은 "아이리신의 이러한 효과가 성상교세포라고 불리는 뇌 세포에서 분비되는 네프릴리신의 수준 증가로 인한 네프릴리신 활성 증가에 기인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라고 강조했다..

네프릴리신은 아밀로이드 베타를 분해하는 효소이다. 아밀로이드 베타가 감소하는 운동이나 기타 조건에 노출된 알츠하이머병 쥐의 뇌에서 수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세포가 네프릴리신 수준을 증가시키도록 촉발하는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생쥐의 경우 혈류에 주입된 이리신은 뇌로 침투하여 잠재적으로 치료제로 유용할 수 있다.

수석 저자인 루돌프 탄지(Rudolph Tanzi) 박사(유전학 및 노화 연구부서 책임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아이리신이 운동으로 인한 네프릴리신 수치 증가의 주요 중재자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밀로이드 베타 부담 감소로 이어지며, 알츠하이머병 예방 및 치료를 목표로 하는 치료법의 새로운 표적 경로를 제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Neuron 저널에 보고되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23-09-18, 9:18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난청은 치매의 주요 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
양한방 복합영양제 '마그비이엑스..
유한양행, 국내 최초 4종 마그네슘 함유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과 전..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